CS 5

[CS] 사설 GitLab 서버에서 SSH로 프로젝트 클론하기

1. SSH 키 생성2. GitLab에 SSH 키 등록3. GitLab 레포지토리 클론4. SSH 설정 파일 작성5. 결론 사설 GitLab 서버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SSH를 통해 레포지토리 내용을 클론하려면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제가 직접 진행한 과정을 공유합니다. 1. SSH 키 생성먼저, 로컬 환경에서 SSH 키를 생성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기본 경로(~/.ssh/id_rsa) 또는 원하는 경로에 SSH 키가 생성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경로를 따로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본 경로에 id_rsa와 id_rsa.pub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

CS 2024.11.29

[CS] vscode kernel 가상환경 안보임

VSCode에서 .ipynb 파일을 열고 실행하려면 우측 상단에서 커널을 지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본 제공되는 파이썬 커널을 사용해도 되지만, 대부분은 자신이 만든 가상환경을 지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가상환경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고 버전을 관리하여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치만 가상환경을 만들어도 커널을 선택하려고하면 잘 뜨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Ctrl+Shift+p" 를 눌러서 "Python 인터프리터 선택"을 들어가줍니다.  클릭해도 커널을 선택했을때처럼 원하는 가상환경이 보이지 않을것입니다. (보이면 그냥 클릭해주세요)"인터프리터 경로 입력"에서 "찾기"를 클릭하여 직접 만든 가상환경 디렉터리 안의 "python.exe" 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가..

CS 2024.07.02

[CS] gensim ImportError

1. 가상 환경 생성2. 문제 발생 및 해결 과정 오늘은 패스트캠퍼스 강의 영상을 보며 공부하다가 gensim 패키지를 설치하면서 발생했던 ImportError 와 해결과정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상 환경 생성vscode 환경에서 진행했는데 평소에는 "python -m venv" 명령어를 사용하여 가상 환경을 만들었지만, 최근에 강의를 통해 conda를 사용하여 가상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강의에서는 "conda create -n 가상 환경 디렉토리명 python=버전" 명령어를 사용하여 가상 환경을 생성하는 것을 보여줬는데, 이 방법을 따라해봤습니다. 큰 문제 없이 가상 환경이 만들어졌고 다음 단계로 이어갔습니다. conda를 이용한 가상 환경 관련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CS 2024.05.03

[CS] Text Embedding

1. Text Embedding 이란2. 임베딩 방법3. Word2vec 1. Text Embedding 이란기존의 비정형 데이터 형태의 자연어 데이터를 n차원의 수치형 벡터로 표상화 시킨 데이터단순히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언어가 가지는 의미적 컨텍스트를 지닌 숫자로 변환머신러닝 알고리즘 활용 시 분석에 용이한 형태 2. 임베딩 방법1) Sparse Vector(구문 정보 중심)문장 내에 단어의 등장 여부, 등장 빈도 등 구문론적 정보가 표현(의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단어 구성이라면 벡터의 생김새가 동일 )대부분의 요소가 0으로 채워지고, 소수의 요소만이 0이 아닌 값을 갖는 벡터일반적으로 희소 벡터는 실제 데이터에 비해 매우 큰 차원을 가지는 경우에 사용비효율적인 저장공간단어의 의..

CS 2024.04.11

[CS] CRLF vs LF

1. 사건 개요 2. 운영체제별 개행 표현 3. 해결 및 느낀점 1. 사건 개요 프로젝트를 깃랩에서 가져와 VSCode에 클론한 후 도커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미지와 컨테이너는 build 및 create 명령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지만,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잠시 실행된 후 Exited(1) 상태가 되며 즉시 종료되었습니다. 이유가 궁금해 Logs를 확인해 보니 "exec ./run.sh: no such file or directory" 라는 문구가 있었습니다. (1주일 전에도 시도했지만 오류를 못찾아서 중도포기하고 다른거하다가 재도전 하였습니다...) 오류 메시지 자체는 "run.sh"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이 간단했..

CS 202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