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GitHub

[Github]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 문제 해결하기

dong_seok 2025. 4. 3. 23:17

이전에 GitHub와 티스토리 블로그를 연동해서 잔디 심기를 만들어보았고 연동이 잘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 제가 따로 생성한 레포지토리에서 push한 내용이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오늘은 제가 최근에 겪었던 GitHub 잔디 심기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1. 문제 상황

저는 여러 개의 GitHub 레포지토리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 레포지토리 A: 코드를 push했더니 GitHub 프로필에 잔디가 잘 심어짐
  • 레포지토리 B: 코드를 push했는데 GitHub 프로필에 잔디가 심어지지 않음

처음에는 레포지토리 설정 문제인가 싶었지만, 둘 다 제가 직접 만든 public 레포지토리였기 때문에 설정 차이는 없었습니다.

 

2. 원인 분석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각 레포지토리의 커밋 로그를 확인해보았습니다.

git log

 

그리고 바로 차이점을 발견했습니다:

 

잔디가 심어지는 레포지토리의 커밋:

commit f3f623f60ce7f2ba3170694f8c5f320310777841
Author: ehdtjr <dskang207@gmail.com>
Date:   Sat Apr 5 13:42:15 2025 +0900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 레포지토리의 커밋:

commit e1257241f82e16f8f2ef2143ad335f5b185cb2ae
Author: 동석 <dongseok@dongseog-ui-Macmini.local>
Date:   Sat Apr 5 14:06:07 2025 +0900

 

바로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 레포지토리에서는 제 GitHub 계정과 연결된 이메일이 아닌, 컴퓨터의 로컬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3. 해결 방법

1) 개별 레파지토리 설정 변경

우선 잔디가 심어지지 않던 레포지토리에서 git config 설정을 변경했습니다.

git config user.name "ehdtjr"
git config user.email "dskang207@gmail.com"

 

이 명령어는 현재 레포지토리에만 적용되는 설정입니다. 설정 후 새로운 커밋을 push했더니 드디어 잔디가 심어졌습니다!

 

2) 전역 설정으로 모든 레포지토리에 적용하기

하지만 매번 새 레포지토리마다 설정하는 것은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전역 설정으로 모든 레포지토리에 동일하게 적용했습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ehdtjr"
git config --global user.email "dskang207@gmail.com"

 

이제 새로 클론하거나 생성하는 모든 레포지토리에서 GitHub 계정과 연결된 정보로 커밋이 생성되어 잔디가 제대로 심어집니다.

 

4. 느낀점

PC를 바꾼 후부터 레포지토리에 push를 하고 commit log를 살펴보면 아래 이미지처럼 로컬 사용자 정보로 기록이 남았는데, 이것이 GitHub 계정 연결을 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라는 점을 오늘에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평소엔 그냥 "왜 그러지?" 하고 넘어갔는데, 사소한 궁금증도 그냥 넘어가지 말고 이유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결론

GitHub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 문제는 대부분 Git 설정의 user.name과 user.email이 GitHub 계정과 연결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이 설정을 GitHub 계정과 일치시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PC를 바꾸면서 기존 설정들이 사라지다보니 이런 문제가 발생했던것 같습니다. 앞으로 새 컴퓨터에서 개발을 시작할 때는 가장 먼저 git config --global 설정을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