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s3

dong_seok 2025. 1. 3. 01:21
1. s3 용어
2. s3 버킷 생성

 

프로젝트 진행도중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해야할 일이 생겨서 AWS의 s3 시스템을 사용해보도록 하였습니다.

 

1. s3 용어

1) 버킷

객체를 저장하는 공간

 

2) 객체

이미지나 동영상 같은 파일

 

3) 버킷명

유일한 이름

 

4) 객체 키

객체 식별자 (모든 객체가 하나씩 가짐)

 

2. s3 버킷 생성

본격적으로 aws 콘솔에 접속해서 버킷을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3 서비스는 사용한만큼 요금이 지불되기 때문에 현재 사용중인 프리티어 기준에 맞게 이미지 용량을 사용할 생각입니다.

 

버킷 이름 규칙에 맞게 이름을 지정하고 넘어가줍니다.

 

 

다른 값들은 추가로 건들이지않고 테스트를 위해 태그를 하나 생성해주었습니다.

 

버킷이 잘 만들어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버킷을 들어가서 이미지를 업로드 해주었습니다.

 

 

 

이미지 업로드는 잘 됐지만 url로 들어가보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원인은 버킷 정책을 지정해주지않아서 이미지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것 이었습니다.

 

 

버킷 정책에 들어가서 편집을 선택합니다.

 

 

화면과 같이 값을 입력해서 json 형태의 정책을 생성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Resource의 나의 버킷 ARN 뒤에 (/*)을 꼭 붙혀줘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래와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제  잘 생성된 json 형태의 정책을 복사하여 붙혀넣었습니다. 

 

 

이번에 다른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찾아보니 처음 버킷을 생성할때 퍼빌릭 액세스를 모두 차단하면서 생긴 에러였습니다. 역할을 지정하던가 다른 방법을 사용해서 퍼블릭 액세스 차단을 유지할 수 있지만 우선 지금은 퍼블릭 액세스 차단을 모두 해제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차단 되어있던부분을 모두 해제해 주었습니다.

 

 

정책이 정상적으로 편집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이미지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s3 에 저장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https://growth-coder.tistory.com/114